유청단백질이란??

유청단백질은 근육유지와 체중감소에 도움이 되는 식품입니다. 우유를 끓이면 하얀 막이 생깁니다. 그 하얀막을 유청이라고 부릅니다. 그 유청 안에 들어 있는 것을 유청단백질이라고 합니다. 유청은 우유를 치즈로 가공할 때 자연 생성되는 부산물로 대부분 가루 형태로 만들어집니다. 건강기능식품으로 유통되는 유청은 처리되는 방식에 따라서 농축유청단백질과 분리유청단백질로 구분이 됩니다. 유청단백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 중 측쇄아미노산은 근육의 회복과 발달의 근간이 되는 성분입니다. 측쇄아미노산은 고농축식품이라서 근육을 키우는 사람들은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유청단백질의 종류는??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건강기능식품으로 유통되는 유청은 처리되는 방식에 따라서 농축유청단백질(WPC:Whey Protein Concentrate)과 분리유청단백질(WPI:Whey Protein Isolate)로 분리됩니다. 분리유청단백질은 유당이나 지방을 거의 제거하고 분리가공해서 단백질만 분리한 순도 높은 단백질입니다. 그래서 유당불내증을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근육흡수도가 매우 빠릅니다.

농축유청단백질은 유청의 순수 단백질만 농축해서 지방과 유당의 함량은 적습니다. 우리가 흔히 먹는 일반 유제품이나 식제품에 첨가되는 단백질이 농축유청단백질입니다. 근육흡수도는 빠른 편이나 분리유청단백질에 비하면 느린편입니다.

유청단백질 먹는 방법은??

유청단백질을 먹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쉐이크로 만들어 먹을 수도 있고, 빵으로 만들어서 건강간식으로 먹을 수도 있고, 아이스크림으로 만들어 먹을 수도 있습니다. 맛있는 간식으로 만들어서 먹을 수 있는 점이 유청단백질의 장점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아이스크림으로 만드는 방법은 우유 200ml에 유청단백 분말을 30g정도 넣어줍니다. 아이스크림 틀에 맞춰서 넣어주고, 냉동실에서 3시간 정도 얼려줍니다. 단 맛을 추가하고 싶다면 건강한 설탕인 스테비아를 첨가해주면 좋습니다.

저는 유청단백을 프로틴 빵으로 만들어 먹는 방법을 가장 선호합니다. 프로틴 빵으로 만드는 데 필요한 재료는 고구마 3개, 우유 한 컵(종이컵 기준), 계란 2개, 유청단백 분말 30g입니다. 우선 계란은 노른자와 흰자를 분리해줍니다. 그리고 고구마를 으깨줍니다. 이 때 우유를 넣으면 더 부드럽게 으깰 수 있습니다. 으깬 재료에 유청단백 분말과 계란 노른자를 넣어줍니다. 우유 200ml도 넣고 섞어줍니다. 계란 흰자는 머랭을 만들어줍니다. 섞어 놓은 반죽과 머랭을 합쳐서 섞어줍니다. 섞은 반죽은 용기에 부어서 전자레인지에 대략 5분 정도 돌려줍니다. 이 때 용기에 붓기 전에 용기 바닥에 오일 등을 칠해주면 빵이 더 잘 떨어집니다. 생각보다 만드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특히 다이어트할 때 먹기 좋은 간식이라 자주 만들어 먹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마저도 귀찮을 때가 종종 있습니다. 그럴 때는 쉐이크로 유청단백을 섭취해줍니다.

유청단백을 쉐이크로 먹는 방법이 가장 간편하고 쉽습니다. 쉐이크로 먹을때는 물 혹은 우유 200~300ml에 유청단백 분말을 30g 넣어서 흔들어주면 됩니다. 물은 차가운 물, 뜨거운 물 다 괜찮습니다. 기호에 따라서 쉐이크에 견과류나 곡물 등을 넣어서 먹어도 됩니다.

유청단백질의 부작용은??

무엇이든지 과하면 독이 됩니다. 유청단백질도 과도한 섭취는 금물입니다. 몸 속에 단백질이 너무 많으면 쓰고 남은 것을 분해하는 간에 무리가 가게 됩니다. 또한, 단백질 대사과정에서 생기는 독소를 처리하면서 신장에도 부담이 간다고 합니다. 그러니 과도한 섭취는 주의하고 권장 섭취량에 맞춰서 유청단백질을 섭취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유청단백질의 먹는 방법과 부작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또 다른 건강식품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