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명약이라 불리는 구기자란?
하수오, 인삼과 함께 3대 명약으로 불리는 구기자를 아시나요? 구기자는 구기자나무의 열매로 8~9월이 되면 붉게 익습니다. 구기자는 말렸을 때 겉이 쭈글쭈글하고 속에는 많은 씨가 들어있습니다. 구기자는 수천 년 전부터 존재했습니다. 중국과 티베트의 역사적 증거에 따르면 불면증, 피부 발진 등 다양한 질병치료에 효과가 있었다고 합니다. 실제 진시황이 불로장생을 위해 즐겨먹었다고 해 더욱 알려진 음식입니다.
발기부전 개선
구기자와 함께 동물 실험을 시행한 연구가 있었습니다. 실험 결과 실험 쥐의 정자의 양이 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회복시키며, 성적 능력을 향상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바 있습니다. 연구팀은 이 같은 결과가 구기자가 발기부전의 원인인 혈관 막힘을 개선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간 기능 개선
구기자에는 베타인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베타인은 아미노산의 일종입니다. 베타인은 간세포의 손상을 막고, 재생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간 기능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성분입니다. 또한, 베타인은 간세포의 지방 축적을 방지하기 때문에 지방간 예방과 관리에도 큰 도움을 줍니다. 실제 간염이나 지방간 치료를 위한 전문의약품에 베타인 성분을 포함합니다.
눈 건강 유지
구기자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제아잔틴이라는 성분은 건강한 눈을 만들어주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구기자는 노화가 빨리 진행되는 사람에게 효과가 크다고 알려져있는데요, 시력은 노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는 부위입니다. 따라서 노인성 백내장과 노안의 예방에 도움을 주며, 백내장 초기에 복용하면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구기자를 지속해서 섭취한 사람들의 눈에서 색소 침착 저하증과 눈병에 걸릴 확률이 섭취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확연하게 낮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혈관 기능 개선
구기자에는 루틴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루틴은 모세혈관을 튼튼히 하고, 혈관 기능을 개선합니다. 또한, 구기자에 함유되어 있는 제아잔틴, 리놀렌산은 혈관벽을 튼튼하게 만들어주고, 동맥경화와 고혈압에 좋습니다.
간에도 좋고 눈에도 좋은 구기자는 먹는 방법
구기자를 차로 마셔주면 일상에서도 쉽게 섭취할 수 있습니다. 우선 말린 구기자 혹은 구기자 가루 30g을 준비합니다. 준비한 구기자를 물2L와 함께 냄비에 넣고 30분 정도 끓여주면 됩니다. 담금주를 만들어 먹어도 좋은데요, 구기자 열매 300g에 소주 1.8L를 붓고 설탕을 기호대로 추가한 후 1~2달 동안 숙성시킨 후 드시면 됩니다. 구기자를 밥에 넣어 드셔도 됩니다. 구기자를 1시간 동안 물에 불린 후 우려낸 물과 함께 밥을 지어 드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구기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 또 다른 건강음식으로 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 > 건강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리골드는 꽃 아닌가? 먹을 수 있는 꽃의 효능과 부작용 (0) | 2020.11.21 |
---|---|
회화나무열매는 갱년기 여성에게 필수! 효능과 부작용은? (0) | 2020.11.21 |
아로니아 효능 3가지와 부작용 (0) | 2020.11.21 |
마카의 효능과 부작용 (0) | 2020.11.21 |
히비스커스의 효능? 부작용? (0) | 2020.11.20 |